하버드에서 원하는 인재 – 인성의 중요성

지금까지 인성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지도하면서 미국 대학에서는 인성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며 어떻게 평가에 반영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미국 대학 입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들을 알아보고, 하버드에서 제시하는 인성의 중요한 특성들을 알아보았다.

Factors in the admission decision

<For the Fall 2023 admission cycle, NACAC member four-year colleges report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dmission decisions were grades in high school courses and strength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대학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미국 대학 입시에서는 아카데믹한 학교 성적인 GPA를 기초로 해서 SAT, ACT와 같은 점수들 이외에도 더 많은 것들을 고려한다. 대학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부분은 학생의 Character인 Personal quality (인성)이다.

오늘 글에서는 특히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에서는 인성을 어떻게 중요시하는지 하버드가 구체적으로 제시한 부분에 대해 적고자 한다.

먼저 아래 순위는 미국 대학 입학 사정관이 학생들의 원서를 평가할 때 보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1. High school grades in college prep courses – 기본 수업(English, Math, Sciene, Social studies)
  2. Total high school grades [all courses] – 전체 성적
  3. Strangth of high school curriculum – 얼마나 어려운 과목, rigorous한 과목들을 들었는지
  4. Positive character attributes – 긍정적인 캐릭터(입학사정관의 70프로가 이 부분이 에세이, 활동, 추천서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함)
  5. Essay
  6. Student’s interest in attending
  7. Counselor recommendation
  8. Teacher recommendation
  9. Extracurricular activities
  10. High school class rank
  11. Admission test score (SAT, ACT)
  12. Portfolio
  13. Interview
  14. Work
  15. State graduation exam scores
  16. Subject test scores (AP, IB)

통계 자료에 따르면 MIT, Yale, Standford, Harvard, UC 등의 주요 대학들은 인성을 합격을 위한 Very important 요소에 두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윤리 의식을 가지고 커뮤니티에 협력하며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성을 갖춘 학생을 찾는다. 그리고 팬데믹 이후 더욱더 Character collaborative 로 여러 대학들이 인성의 중요성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인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는 이유는 개인의 인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과연 대학은 원서에서 인성을 어떻게 평가할까?

인성은 원서의 Essay, 카운슬러와 선생님의 추천서에서 주로 나타난다. 에세이는 학생이 가진 인성을 보여주며, 추천서는 학생이 어떤 성향과 인성을 가졌는지를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통해 알려주는 것이다.

하버드는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입학사정의 요소들을 중요도의 순위가 아닌 Considered와 Not Considered로 표시했다. 하버드는 Character / Personal qualities를 다음과 같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다.

  • Rigor or secondery school records
  • Academic GPA
  • Standized test scores
  • Application Essay
  • Recommendations
  • Interview
  • Extracurricular activities
  • Talent/Ability
  • Character/ Personal qualities

그렇다면 하버드가 리포트한 중요한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이것들은 에세이, 추천서보다도 엑티비티에서 드러난다.

  1. Compassion 공감 – 다른 사람의 감정을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려는 성향. 예) 공감하고 개선하려는 경험, 타인의 어려움 이해, 팀 프로젝트 협력,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가는 것, 타인을 어떻게 이해하고 공감했는지에 대한 경험.
  2. Curiosity 호기심 – 자신, 세계, 다른 사람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느끼고 경험하고자 하는 호기심을 가지는 것, 경험을 통한 세상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갖는 것, 강하고 진실된 호기심을 나타내야 하며 많은 경험을 스스로 구체적으로 에세이에 담아야 한다. 추천서에서도 진실된 호기심과 시선을 보고 싶어한다. 예) 수업에서 깊이 있는 질문을 하는 것, 문제 해결을 위해 스스로 연구하는 것 등이 언급되는 것.
  3. Gratitude 감사하는 마음 – 하버드에서 말하는 감사는 자신의 삶에서 받은 물질적인 것들, 시간, 지원 등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 일회적인 감사가 아닌 공헌에 통해 감사를 실천하는 활동에 장기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가. 감사의 태도는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학교, 사회 생활에 기여하므로 이런 성격을 가진 학생을 찾는다. 예) 지역사회 봉사, 기부 활동, 타인을 위한 이벤트 준비, 추천서에서도 나타낼 수 있음.
  4. Grit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열정과 끈기 – 그릿은 IQ나 다른 어떤 것 보다 성취와 성공을 예측하는 변수이다. 예) 학생이 3년 동안 지역사회에 있는 우울증 청소년을 위한 그룹을 만들고 그들의 정신 건강에 관한 문제 인식을 높이고 그 분야에 대한 펀딩을 마련했으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은 있었지만 목표를 스스로 달성하는 것, 학생이 그동안 해온 일에 대한 열정과 극복해온 도전들을 보여준다.
  5. Growth Mindset 성장 마인드셋 – 지식과 재능이 노력과 헌신을 통해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학생들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다양한 시도를 통해 지식을 얻고 성공을 추구한다. 실제로 상위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스스로를 개발하는 Pro active한 성향을 보여준다. 예) Open minded, special needs, a strong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실패에서 배우는 것,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면이 중요하다.
  6. Perspective-Taking – 다양한 관점에서 사물을 보는 능력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여러 관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이다. 예) special needs 아동들을 위한 봉사 활동을 통해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것,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 하는 것.
  7. Purpose – 세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목표를 말하며, 개인의 목표를 넘어서 사회에 기여하는 넓은 시야를 포함한다. 자신의 목표가 왜 중요한지, 그 목표가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하며 명확하게 나타내야 한다. 예) 아이들을 가르치는 봉사 또는 인턴 경험을 통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보여줘야 하며, 이 활동의 의미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에세이에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이 드러나며, 나의 목표가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8. Self- Control 자기 통제력 – 충동적인 행동을 제거하고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 스포츠나 음악 활동에 참여하면서 긴 시간과 높은 레벨의 연습을 통해 지속적인 노력과 헌신을 보여줄 수 있다. 이것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인 관계에서도 자기 통제력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하고 충동을 억제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지를 보여준다. 예) 팀 프로젝트를 하며 의견이 충돌했을 때 어떻게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했는지, 친구와의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감정을 조절하고 해결책을 찾았는지 보여줄 수 있다.

위와 같은 인성의 특성을 에세이, 추천서, 엑티비티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과 이야기를 통해 대학에 강력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인성은 대학 입시에서, 인생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인성 교육은 모든 교육에서 기본이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