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에세이 쓰기

미국 대학 지원을 위한 에세이를 쓸 때 알아두어야 할 점 에세이는 내가 이 학교에 얼마나 잘 맞는 학생인지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인성과 리더쉽, 학업적 열정을 보여줄 수 있기에 에세이는 제한된 글자수 안에서 최대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어야 한다. 대학 별로 다르지만 우리가 한번 쯤 들어본 대학들은 약 4~5만명의 지원서에서 1~2천명을 선발해야 할 정도로 합격률이 … 더 읽기

할로윈

영어 전담을 할 때는 매해 할로윈을 큰 행사로 했었는데, 담임이 되고서는 할로윈 행사에 대해 고민이 많아졌다. 더군다나 이태원 사건으로 인해 할로윈을 해피할로윈이라 부르기가 어렵다. 그러나 길가에 놓인 호박, 곳곳에서 할로윈 장식과 코스튬을 파는 영미권에서는 축제의 날을 준비하느라 바쁘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추석과 비슷한 할로윈 문화의 유래와 의미를 알려주는 문화 수업을 진행했다. 15년 전에 원어민 교사와 함께 … 더 읽기

노벨상 소식

1 2000년 노벨평화상에 이어 2024년 노벨문학상 소식으로 한국 정치가 아닌 문학으로 관심이 쏠린 듯 하지만, 사실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의 작품들은 우리나라 정치 폭력과 역사를 다루고 있다. 몇개의 국제 수상 작품으로 작가의 작품을 평론할 수 없지만, 초등 시기에 다루면 좋을 이 역사적인 기록을 1학년 아이들에게 어떻게 전달할까 고민했다. 가끔은 1학년 아이들의 반응이 궁금해서 아이들에게 세상 … 더 읽기

미국 대학 여름 캠프

지금 아이는 미국 대학 여름 캠프 중이다. 전공은 Biology이지만, Philosophy에도 관심이 많은 아이는 이번 캠프에서 학점을 딸 수 있는 두 과목을 writing과 marine biology를 선택했다. biology는 나름 자신있다고 생각했지만 외울 것이 생각보다 많았고, writing 과목은 캠프 기간동안 7권의 책을 읽어야하고, 매주 10장 정도의 에세이를 써서 제출해야 한다는 것을 코스 선택 후 첫 수업 때 알게 … 더 읽기

리더쉽 Leadership

리더쉽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타고난 것인지 아니면 만들어지는 것인지, 사람마다 리더십의 양상과 주변을 변화시키는 방식은 다르지만, 리더쉽은 봉사를 포함한 도덕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 사명감을 가지고 자신보다 대의를 위한 일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일이라 생각한다. 세계 최고의 대학들은 리더쉽이 있는 학생들을 뽑는다. 이 학생이 우리 학교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동기나 … 더 읽기

관찰하기

아동기 아이들은 호기심이 왕성하여 질문 또한 많다. 이때 질문에 대해 모든 것을 답해줄 수 없고 매번 답을 찾아주기도 어려우며 질문에 대해 바로 답을 찾아 알려줘서도 안된다.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가 가이드 해야 하는데, 이것은 자기 주도 학습의 시작이며, 그런 동기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관찰이 그 시작이다. 관찰하기는 집중력과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 더 읽기

스마일 1학년 독서록 포맷

독서록을 쓸 수 있을 만큼 성장한 우리 스마일 1학년 아이들이 자랑스럽다. 양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을 적는 것이 중요하지만,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지 어떻게 하면 더 잘 쓸 수 있을지 고민하는 아이들과 부모님들을 위해 사고력 신장을 위한 포맷을 만들어 적어본다. 한글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1학년은 자신의 수준에 맞게 낱말이나 그림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 더 읽기

몰입 3 – 독서와 집중

독서의 중요성 뇌를 업그레이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서이다. 읽기 능력과 성공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읽기에 능숙한 사람은 더 나은 직업, 더 높은 수입, 삶의 모든 영역에서 더 큰 성공의 기회를 누린다. 학습을 위한 어떤 계획이든 독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기억이 거의 모든 뇌 기능의 기초가 되듯이 독서는 거의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책을 읽지 … 더 읽기

몰입 2 – 습관과 기억

행동을 위한 습관 작고 간단한 행동을 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일을 미루는 것은 뇌를 긴장하게 만든다. 미루지 않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과업을 아주 작게 쪼개어 조금씩 완수하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다. 작고 간단한 행동을 반복하면 습관이 된다. 우리가 매일 하는 일의 반은 습관의 산물이다.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의 저자 제임스 클리어는 이렇게 말했다. ‘매일 반복하거나 … 더 읽기

몰입 1 – 뇌 건강과 마인드셋

고등학교 때의 나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철학책에 빠져 있었고, 20대에 나는 ‘내가 진정 원하는 일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그런 고민과 경험을 통해 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무언가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이 낯설고 힘들었지만 책임감 있게 목표를 위해 노력했던 그때의 경험들은 지금 내가 하는 …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